증시 주요 캘린더
-
[월간 일정]
-
[주간 일정]
📅 7월 1일(월요일) - 제조업 지표 집중
🏭 주요 경제지표
-
ISM 제조업 PMI (6월) 오전 10:00 ET
- 컨센서스: 49.0 (전월: 48.5)
- 중요도: ⭐⭐⭐⭐⭐
- 제조업 경기 선행지표로 연준 정책에 직접적 영향
-
건설지출 (5월) 오전 10:00 ET
- 컨센서스: +0.2% (전월: -0.1%)
- 인프라 투자와 부동산 시장 건전성 평가
📊 실적 발표
- STZ Constellation Brands (장 마감 후)
- 주류/맥주 대기업, Q1 FY2026 실적
- 컨센서스 EPS: $3.15
- 프리미엄 브랜드 성과와 마진 개선 여부 주목
🎤 Fed 관련
- 연준 지역 총재들 비공식 세미나
- 7월 FOMC 대비 사전 의견 조율
📅 7월 2일(화요일) - 고용시장 예비 점검
💼 주요 경제지표
-
JOLTS 구인건수 (5월) 오전 10:00 ET
- 컨센서스: 7.8M (전월: 7.77M)
- 중요도: ⭐⭐⭐⭐
- 노동시장 타이트니스 측정, 금요일 고용통계 앞서 중요 지표
-
차량 판매 데이터 (6월) 오전 중
- 자동차 업계 월간 성과 평가
- 경기 회복세와 소비 심리 반영
🏢 실적 발표
- 소비재 및 리테일 중소형주들 중심
- Q2 실적 마무리 단계
🌐 기타 이벤트
- EU-미국 통상 협의 진행
- 글로벌 공급망 재편 논의
📅 7월 3일(수요일) - ADP와 FOMC 회의록
👥 핵심 경제지표
- ADP 고용보고서 (6월) 오전 8:15 ET
- 컨센서스: +155,000명 (전월: -33,000명)
- 중요도: ⭐⭐⭐⭐⭐
- 금요일 비농업 고용통계의 핵심 선행지표
📋 연준 이벤트
- FOMC 회의록 공개 (6월 회의) 오후 2:00 ET
- 금리 정책 방향성과 위원들 의견 분화 확인
- 7월 금리 인하 가능성 재평가
🏥 실적 발표
- 헬스케어 섹터 중심
- 제약/바이오 기업들 Q2 실적 본격화
🏛️ 정책 이벤트
- Treasury 분기별 자금조달 발표
- 국채 발행 계획과 시장 유동성 영향 평가
📅 7월 4일(목요일) - 독립기념일 휴장
🇺🇸 시장 현황
- 미국 증권시장 휴장
- 채권시장 휴장
- 상품시장 단축 거래 (오후 1시 마감)
🌍 글로벌 시장
- 유럽, 아시아 증시는 정상 거래
- 달러 유동성 제한으로 변동성 확대 가능성
- 주요 경제 뉴스나 기업 발표 가능성
📱 기업 활동
- 일부 기업들의 사전 가이던스 업데이트
- M&A 관련 소식 발표 가능성
📅 7월 5일(금요일) - 고용통계 슈퍼프라이데이
📊 메가 이벤트
- 비농업부문 고용통계 (6월) 오전 8:30 ET
- 일자리 증가: 컨센서스 185,000명 (전월: 206,000명)
- 실업률: 컨센서스 4.1% (전월: 4.0%)
- 평균시급: 컨센서스 +0.3% MoM (전월: +0.4%)
- 중요도: ⭐⭐⭐⭐⭐
- 7월 FOMC 금리 결정의 결정적 변수
🏭 추가 경제지표
- ISM 서비스업 PMI (6월) 오전 10:00 ET
- 컨센서스: 52.5 (전월: 53.8)
- 서비스업 경기 동향 파악
💳 기타 지표
- 소비자 신용 (5월) 오후 3:00 ET
- 소비 여력과 신용카드 사용 패턴 분석
🎯 시장 주목점
- 연준 금리 정책 재평가: 고용 강세 시 매파적 전환 가능성
- 섹터 로테이션: 고용 데이터에 따른 금리민감주 vs 경기민감주
- 3분기 전망: 하반기 시장 방향성 결정
2025년 7월 4일 주식시장 신호등
-
Macro: GOOD IS GOOD
-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긍정(▲)
-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긍정 → [개장 후] 긍정
-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긍정(▲▲)
-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긍정 → [개장 후] 긍정
2025년 7월 4일 Macro 이슈
💼 비농업고용통계 (6월) - 오전 8:30 ET 발표
개념: 미국 경제의 가장 중요한 고용 지표로,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에 핵심적 영향을 미치는 선행지표 발표 결과: +147,000명 (컨센서스: +110,000명 대비 33.6% 초과 달성) 실업률: 4.1% (예상 4.3% 대비 개선, 전월 4.2%에서 하락) 평균시급: 전월 대비 +0.2% ($36.30), 연간 +3.7% 시장 평가: ADP 민간고용 -33,000명의 충격적 결과 이후 시장이 우려했던 고용시장 급랭 우려를 완전히 불식시키는 강력한 결과 자산시장 영향:
- 7월 금리 인하 확률 5%로 급락 (전일 30%에서)
- 9월 25bp 인하 확률 68%로 하향 조정
- 10년 국채수익률 급등으로 달러 강세 가속화
- 기술주 중심 위험자산 강세 지속 미국 노동통계청
🏛️ 트럼프 세제개편법안 하원 진행 (저녁 표결 예정)
개념: 상원을 통과한 4.5조 달러 규모 세제개편법안이 하원에서 최종 표결 진행 법안 상황: 하원 공화당 지도부가 219-213으로 절차적 표결 통과 시장 평가: 최종 통과 가능성 높아지며 세제 혜택 기대감 증폭 자산시장 영향:
- 금융주와 소형주 강세 지속
- 재정 적자 우려로 장기 금리 상승 압력
- 기업 실효세율 하락 기대로 S&P 500 EPS 상향 조정 예상
🇨🇳 미-중 반도체 수출 규제 완화
개념: 미국 정부가 중국 대상 EDA(Electronic Design Automation) 소프트웨어 수출 제한을 부분 해제 정책 변화: 시놉시스, 케이던스 등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수출 규제 완화 시장 평가: 미중 기술 분야 데탕트 신호로 글로벌 공급망 정상화 기대감 확산 자산시장 영향:
- 반도체 설계 기업들 4%+ 급등
- 기술주 전반의 추가 상승 동력 제공
- 중국 노출 기술 기업들의 리스크 프리미엄 축소
2025년 7월 4일 미국 증시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4,828.53 (+344.11p, +0.77%)
- S&P 500: 6,279.35 (+51.93p, +0.83%) 🎉 신기록 경신
- 나스닥 종합지수: 20,601.10 (+207.97p, +1.02%) 🎉 신기록 경신
- 러셀 2000: 2,226.38 (+22.66p, +1.03%)
특별 거래일: 독립기념일 전날 오후 1시 조기 마감, 거래량 10.85억 주 (평균 대비 39% 감소)
🏭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기술 섹터 (+1.8%)
기술 섹터가 나스닥 신기록을 견인하며 강력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중국 EDA 소프트웨어 수출 규제 완화가 핵심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으며, 강력한 고용 지표로 AI 투자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재점화되었습니다. 특히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4%+ 급등하며 섹터를 견인했습니다.
🏦 금융 섹터 (+1.4%)
금융 섹터가 강력한 고용 지표와 세제개편법안 진전으로 견고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 축소가 순이자마진 개선 전망을 높였고, 36개 S&P 500 종목이 52주 신고가를 기록하는 가운데 JP모건,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등이 IPO 이후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 에너지 섹터 (+0.9%)
태양광 관련 주식들이 세제개편법안에서 태양광·풍력 세금이 제거되면서 강세를 보였습니다. 퍼스트솔라 8%, 엔페이즈 에너지 5% 상승하며 인베스코 솔라 ETF(TAN)가 3%+ 급등했습니다.
🏭 산업재 섹터 (+0.7%)
무역 정책 완화와 인프라 투자 확대 기대감이 산업재 섹터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들이 주목받았습니다.
🏥 헬스케어 섹터 (+0.3%)
헬스케어 섹터는 6월 고용에서 +39,000명이 증가하며 섹터 고용 호조를 보였으나 센티니 주가가 52주 신저가를 기록하며 전체 섹터 상승폭을 제한했습니다.
2025년 7월 4일 종목 이슈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테슬라 (TSLA $298.46, +$0.85, +0.29%)
테슬라가 소폭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 투자은행들의 엇갈린 평가 속에서 로보택시와 저가형 모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시가총액 1조 달러를 유지하며 Magnificent Seven 지위를 공고히 했습니다.
🎯 엔비디아 (NVDA $159.26, +$2.01, +1.28%)
AI 반도체 선두주자 엔비디아가 1.28% 상승하며 시가총액 3.89조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중국 수출 규제 완화와 IPO 이후 사상 최고가 경신으로 세계 최대 기업 등극에 한발 더 다가섰습니다. 데이터센터 수요 지속 확대가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
📊 팰런티어 (PLTR $134.26, +$2.14, +1.62%)
데이터 분석 전문 기업 팰런티어가 1.62% 상승했습니다. Magnificent Seven 편입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연초 이후 74.7% 상승률을 이어갔습니다. 정부 계약 확대와 상업 부문 성장이 지속적인 성장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애플 (AAPL $213.55, +$1.90, +0.90%)
아이폰 제조사 애플이 상승했습니다. 중국 수출 규제 완화로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기대감과 AI 기능 통합 가속화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아마존 (AMZN $223.41, +$2.15, +0.97%)
전자상거래 거대 기업 아마존이 상승했습니다. AWS 클라우드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AI 서비스 확장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 구글 (GOOGL $180.55, +$2.30, +1.29%)
구글 모회사 알파벳이 상승했습니다. AI 투자 확대와 클라우드 경쟁력 강화 소식이 지속적인 성장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MSFT $452.85, +$6.75, +1.51%)
소프트웨어 거대 기업 마이크로소프트가 견고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Azure 클라우드와 AI 통합 서비스의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메타 (META $545.80, +$12.25, +2.30%)
메타 플랫폼즈가 2.30% 강세를 보였습니다. Needham 애널리스트가 언더퍼폼에서 홀드로 상향 조정하며 노동 생산성이 빅테크 중 1위라고 평가했습니다.
📈 트립어드바이저 (TRIP $16.85, +$1.42, +9.21%)
온라인 여행 플랫폼 트립어드바이저가 9% 급등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액티비스트 펀드 스타보드 밸류가 9% 이상의 지분을 취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데이터독 (DDOG $135.15, +$18.89, +16.25%)
클라우드 모니터링 기업 데이터독이 16% 급등했습니다. 7월 9일 S&P 500 편입이 발표되어 패시브 펀드들의 매수 수요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Wedbush가 목표주가를 $140에서 $170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 크라우드스트라이크 (CRWD $545.67, +$21.45, +4.09%)
사이버보안 기업 크라우드스트라이크가 4% 급등했습니다. Wedbush가 목표주가를 $525에서 $575로 상향 조정하며 AI 사이버보안 플랫폼 접근법의 모멘텀 증가를 강조했습니다.
🔧 시놉시스 (SNPS $687.45, +$28.90, +4.39%)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기업 시놉시스가 4.39% 급등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중국 대상 EDA 소프트웨어 수출 규제 완화로 직접적인 수혜를 받았습니다.
🔧 케이던스 (CDNS $378.25, +$19.75, +5.51%)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기업 케이던스가 5.51% 급등했습니다. 시놉시스와 함께 중국 수출 규제 완화의 최대 수혜주로 평가받았습니다.
실적 발표 주요 종목
🎙️ 팟캐스트원 (PODC $2.18, -$0.05, -2.24%)
실적 요약: Q4 FY2025 EPS -$0.06 (컨센서스 -$0.04 대비 $0.02 하회), 매출 $14.1M (컨센서스 대비 $1.12M 초과) 시장 반응: 손실 확대에도 불구하고 매출 성장으로 혼재된 반응 의미: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의 수익화 과제와 성장 잠재력을 동시에 보여줌
실제로 7월 3일에는 대형 실적 발표가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대부분의 S&P 500 기업들은 7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Q2 실적 시즌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주요 IB 투자의견 발표
💾 데이터독 (DDOG)
- Wedbush: 목표주가 $140에서 $170으로 상향 조정
- 근거: S&P 500 편입과 관찰가능성 분야에서의 지속적인 점유율 확대
- 시장 반응: 16% 급등으로 상향 조정 효과 극대화
🔐 크라우드스트라이크 (CRWD)
- Wedbush: 목표주가 $525에서 $575로 상향 조정
- 근거: 사이버 플랫폼 접근법 모멘텀 증가, AI가 명확한 순풍
- 시장 반응: 4% 상승으로 기술주 강세 동참
🎮 메타 (META)
- Needham: 언더퍼폼에서 홀드로 상향 조정
- 근거: 빅테크 중 노동 생산성 1위, FY24 FCF per FTE 최고 수준
- 시장 반응: 2.30% 상승으로 긍정적 반응
🏪 코스트코 (COST)
- UBS: Buy로 상향 조정
- 근거: 회원제 모델의 지속적인 성장과 소비자 충성도
- 시장 반응: 소매 섹터 내 차별화 진행
2025년 7월 4일 원자재 이슈
⚫ 원유 (WTI: $67.35, +0.4% / Brent: $71.25, +0.6%)
등락 이유: 강력한 고용 지표로 경제 성장 지속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원유 수요 증가 전망이 부각되었습니다. 여름 드라이빙 시즌 수요와 OPEC+ 감산 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산업 영향:
- 에너지 기업들의 수익성 개선 지속 예상
- 항공사와 운송업체들의 연료비 부담 증가 압력
- 인플레이션 압력 재부각 우려는 제한적
🥇 금 ($2,358, -0.3%)
등락 이유: 강력한 고용 지표로 달러 강세와 금리 상승 압력이 높아지면서 안전자산 수요가 감소했습니다. 위험자산 선호 증가도 금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산업 영향:
- 금광주들의 단기 실적 압박 요인
- 중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 지지 예상
- 중앙은행들의 금 보유 확대 트렌드는 지속
🔶 구리 ($5.12/lb, +0.8%)
등락 이유: 강력한 고용 지표로 미국 경제 회복력이 재확인되면서 산업용 구리 수요 증가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중국 인프라 투자 확대 전망과 전기차 수요도 지지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산업 영향:
- 전기차와 재생에너지 섹터의 원료비 상승 압력
- 구리 관련 광산주들의 수익성 개선 기대
- 건설업계의 원자재 비용 상승 압박
🌾 농산물 (소맥: +1.1%, 옥수수: +0.7%)
등락 이유: 경제 성장 지속 기대감으로 농산물 수요 증가 전망이 부각되었습니다.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기대감도 가격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산업 영향:
- 농업 관련 기업들의 수익성 개선 기대
- 식품 제조업체들의 원료비 상승 부담
- 글로벌 식량 안보 개선 기대감
다음주(7월 2주차) 주요 일정
📅 7월 7일(월요일) - 시장 재개 및 실적 시즌 준비
📊 경제지표
- 미국 시장 정상 거래 재개 (독립기념일 휴장 이후)
- 소비자신용 잔고 (5월) 오후 3:00 ET
- 컨센서스: +$12.5B (전월: +$6.4B)
- 중요도: ⭐⭐⭐
- 강력한 고용 지표 이후 소비자 신용 확장 가속화 점검
📈 실적 발표
- 소수의 중소형 기업들 Q2 실적 발표 시작
- 대형 은행들 Q2 실적 시즌 준비 완료
📅 7월 8일(화요일) - 인플레이션 주간 시작
📊 핵심 경제지표
- 생산자물가지수 (PPI) (6월) 오전 8:30 ET
- 헤드라인 PPI: 전월 대비 +0.3% (전월: +0.2%)
- 근원 PPI: 전월 대비 +0.2% (전월: +0.2%)
- 중요도: ⭐⭐⭐⭐
- 강력한 고용 지표 이후 임금 인상 압력이 생산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 점검
📈 실적 발표
- 추가 중소형 기업들 Q2 실적 발표
- 섹터별 실적 가이던스 업데이트
📅 7월 9일(수요일) - 메가 이벤트 데이
📊 슈퍼 경제지표
- 소비자물가지수 (CPI) (6월) 오전 8:30 ET
- 헤드라인 CPI: 전월 대비 +0.3% (전월: +0.3%)
- 연간: +3.2% (전월: +3.3%)
- 근원 CPI: 전월 대비 +0.2% (전월: +0.2%)
- 연간: +3.4% (전월: +3.4%)
- 중요도: ⭐⭐⭐⭐⭐
- 연준 정책의 최대 변수: 강력한 고용 지표 이후 인플레이션 재가속 여부가 9월 금리 인하 확률 결정
📈 중요 기업 이벤트
- 데이터독 S&P 500 편입: 주니퍼 네트웍스를 대체하여 정식 편입
- 대형 실적 발표: Q2 실적 시즌 초기 주요 기업들
📅 7월 10일(목요일) - 실적 시즌 본격화
📊 경제지표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오전 8:30 ET
- 컨센서스: 235,000건 (전주: 233,000건)
- 강력한 고용 지표 이후 지속적인 고용 시장 안정성 점검
- 도매재고 (5월) 오전 10:00 ET
📈 메가 실적 발표
- JP모건 체이스 (JPM): Q2 실적 발표 (장 개장 전)
- 웰스파고 (WFC): Q2 실적 발표 (장 개장 전)
- 시티그룹 (C): Q2 실적 발표 (장 개장 전)
- 블랙록 (BLK): Q2 실적 발표
- 대형 은행들의 순이자마진, 대출 성장, 신용 비용 집중 점검
📅 7월 11일(금요일) - 주간 마무리 및 소비 점검
📊 중요 경제지표
-
소매판매 (6월) 오전 8:30 ET
- 헤드라인: 전월 대비 +0.4% (전월: +0.1%)
- 근원 소매판매: 전월 대비 +0.3% (전월: +0.1%)
- 중요도: ⭐⭐⭐⭐
- 강력한 고용 지표가 실제 소비 증가로 이어지는지 확인
-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7월 예비치) 오전 10:00 ET
- 컨센서스: 69.0 (전월: 68.2)
- 고용 호조의 소비자 심리 개선 효과 점검
📈 실속 발표 지속
- 골드만삭스 (GS): Q2 실적 발표
- 모건스탠리 (MS): Q2 실적 발표
- 뱅크오브아메리카 (BAC): Q2 실적 발표
- 투자은행 부문 실적과 자산관리 수수료 수입 점검
🗣️ 연준 관련 주요 이벤트
📅 연준 연사 일정
- 7월 8일: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Beth Hammack 연설 (오후 1:00 ET)
- 7월 9일: CPI 발표 후 연준 인사들 긴급 해석 세션
- 7월 10일: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Patrick Harker 연설 (오전 9:30 ET)
- 7월 11일: 리치몬드 연은 총재 Tom Barkin 연설 (오후 2:00 ET)
🏛️ 정책 관련 주요 이벤트
- 세제개편법안: 하원 최종 표결 결과와 트럼프 서명 일정
- 무역 정책: 7월 9일 90일 관세 유예 기간 만료 앞둔 협상 진전
- 연준 정책: CPI 결과에 따른 9월 FOMC 회의 정책 경로 재평가
📊 섹터별 주목 포인트
💻 기술 섹터
- AI 인프라 투자 지속성: 엔비디아, AMD 등 반도체 기업들의 Q2 가이던스
- 중국 수출 규제 완화 효과: 시놉시스, 케이던스 등 EDA 기업들의 실제 수주 증가
- 클라우드 성장 지속: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의 클라우드 부문 성장률
🏦 금융 섹터
- Q2 실적 시즌 본격화: 대형 은행들의 순이자마진과 대출 성장
- 세제 혜택 실현: 법안 통과 후 2025년 EPS 상향 조정 폭
- 신용 리스크 개선: 강력한 고용 지표의 대출 손실 충당금 감소 효과
⚡ 에너지 섹터
- 재생에너지 정책 변화: 세제개편법안의 태양광·풍력 세제 혜택
- 전통 에너지 투자: 원유 가격 안정화와 생산 확대 계획
- ESG 투자 트렌드: 기후 정책 변화에 따른 투자 재편
🌍 글로벌 주요 이벤트
🇪🇺 유럽
- ECB 정책 회의 (7월 17일) 대비 시장 포지셔닝
- 유로존 CPI (7월 10일) - 미국 인플레이션과 비교 분석
- 독일 ZEW 경제전망 (7월 8일) - 유럽 경제 회복력 점검
🇨🇳 중국
- 6월 수출입 데이터 (7월 12일 예정) - 미중 무역 관계 개선 효과
- 중국 CPI/PPI (7월 9일) - 디플레이션 압력 지속 여부
- 중앙은행 정책 회의 - 추가 부양책 필요성 점검
🔥 핵심 주목 포인트
1️⃣ 인플레이션 삼각함수 (7월 9일)
강력한 고용 지표 이후 CPI 발표가 이번 주 최대 변수입니다. 임금 상승 압력이 소비자 물가에 반영되는지 여부에 따라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확률이 크게 변동될 수 있습니다.
2️⃣ 실적 시즌 개막포 (7월 10일~)
대형 은행들을 필두로 Q2 실적 시즌이 본격 시작됩니다. 특히 금융주들의 순이자마진 개선과 신용 비용 감소가 세제 혜택과 함께 이중 호재로 작용할지 주목됩니다.
3️⃣ 정책 믹스의 완성
세제 정책(재정 확장) + 통화 정책(긴축 지속) + 무역 정책(관세 유예)의 조합이 자산 시장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