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v 06, 2024 12:23 PM
Jun 03, 2025 11:06 AM

#항공우주및방위 #산업재 #우주 #위성 #위성통신 #위성발사 #위성제조 #통신위성 #위성인터넷 #스타링크 #저궤도위성

산업섹터

섹터: [산업재|산업재]
산업: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Aerospace & Defense)

영위사업

SpaceX는 우주 운송 서비스, 우주선 제조, 통신 위성 네트워크 운영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민간 우주기업입니다. 위성 통신, 위성 발사, 위성 제조(통신 위성)를 수행
2

독보적인 기술력과 이력

  1. 재사용 발사체의 Top dog: 300회에 육박한 발사 횟수, 상용화된 팰컨 9의 발사 성공률 100% 기록 등 압도적인 기술력을 앞세워 발사 서비스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구축
    1. 현재 동사의 발사체 재사용 주기는 3주 정도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이 재사용을 위한 수리 작업 (refurbish)에 소요되는 시간이다. 초기 재사용 주기인 356일에서 이미 크게 단축된 상황이며, 수리 작 업을 최소화하여 궁극적으로는 회수 후 즉시 재사용 가능한 수준이 목표다. 수리 비용 또한 초기엔 약 1,300만 달러였으나 현재는 백만 달러 수준으로 낮아졌다. 짧아지는 수리 기간만큼 재사용 비용도 함께 감소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마진율 개선이 기대된다. 발사체의 재사용 횟수의 증가 또한 마진 개선의 요인이다. 참고로 팰컨 9 - B1058은 2023년 7월에 17번째로 재사용됐다.
    2. 한편 현재 동사는 발사체 중 1단을 재사용하는 중인데, 2단까지 완전 재사용이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 는 중이다. 스타십 또한 정상적인 임무 수행을 위해서는 수퍼 헤비(Super Heavy)와 같은 발사체가 필요 하지만 자체만으로도 단단식(SSTO, Single Stage To Orbit)의 운용은 가능
  2. 다음 타자, 스타십: 인류 역사상 가장 거대한 우주선으로, 행성간 임무에 사용될 수 있는 초대형 발사체.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각 국 정부 및 기관들의 대형 임무 수임, 동사의 우주 관련 사업 영역의 확장 기대
  3. 극한의 비용 효율화: [85%의 수직계열화], 규모의 경제 구축을 통한 제조단가 하락. 덮개 인페어링 회수에도 성공. 상대적으로 낮은 발사체 개발비용 또한 동사의 비용 경쟁력 요소![](/img/user/attachments/Pasted image 20241226214413.png)
  4. 든든한 캐시카우, 스타링크: 현재 저궤도 위성통신 1위로, 가입자 200만 돌파, 머스크의 손익분기 달성 발언 등 긍정적인 성장성과 수익성 추세가 확인. 이에 따른 매출액 증가는 스페이스X의 발사체 개발 비용 부담을 완화해줄 수 있는 요소. IPO 시점은 여전히 불확실하나, 수익성 개선 속도를 고려했을 때 최근의 스타링크 재무상태는 머스크가 원하던 IPO 진행 조건을 어느 정도 충족했을 가능성이 있음. 다만 스타링크 IPO가 결정된다면, 해당 시점에 서 성장성과 수익성에 따른 밸류에이션 부담은 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전방/후방산업

후방산업

전방산업

밸류체인

  1. 연구 개발: SpaceX (자체 R&D)
  2. 제조: SpaceX (로켓, 우주선, 위성 등)
  3. 발사 서비스: SpaceX (Falcon 9, Falcon Heavy 등)
  4. 위성 네트워크 운영: Starlink (SpaceX 자회사)
  5. 우주 화물 운송: Dragon 우주선
  6. 유지보수 및 재사용: SpaceX (재사용 가능한 로켓 기술)

주요제품

주요 원자재/소재

특수합금(Special Alloys)은 특정 조건이나 극한 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된 금속 합금으로 항공우주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초합금(Superalloy),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티타늄 합금, 고강도 저합금강(HSLA) 등을 포함

■ SpaceX 로켓 엔진은 Inconel 718, SX500 등 니켈 합금을 사용. Starship 설계/제조 방식도 300계열 스테인리스강으로 변경

■ Falcon 9의 1단/2단 추진체는 알루미늄-리튬 합금, 연결부와 착륙다리는 탄소 복합재료와 알루미늄 허니컴 코어로 제작

■ Falcon 9의 건조 중량 31톤 중 알루미늄니켈이 차지하는 중량은 각각 21톤, 1톤으로 [알루미늄 비중(약 67%)이 압도적]

■ Starship 발사 횟수는 지난 2년간 6회에 불과하나, 일론 머스크는 미래에는 2년마다 1,000~1,200대 Starship을 발사할 계획

■ Starship과 Super Heavy 제작에는 304L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며, Raptor 엔진 역시 니켈 기반의 SX500 Inconel로 제작

■ Starship의 건조 중량 320톤에서 알루미늄과 니켈이 차지하는 중량은 각각 2톤, 47톤 수준으로 [니켈 비중이 압도적]

■ Falcon 9 발사 횟수 증가에 따라 벤더사들의 공급액이 비례하게 성장했으며, Starship 공급액 역시 Exponential한 성장 전망

주요 판매국가

미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쟁업체

산업 내 글로벌 시장 점유율

SpaceX는 상업 위성 발사 시장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2년 기준으로 전 세계 상업 발사의 6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최근 3년 내 주요 이슈